Study/Tips 2

[docker] 도커 캐시 제거하기

간혹, 도커의 성능이 눈에 띄게 느려지는데, 사용하지 않는 이미지나 컨테이너 수를 줄여서 정리하는 방법을 시도한다. 이 외에도 빌드할 때 의도치않게 저장된 캐시도 존재하는데, 이를 명시적으로 지우는 것도 저장공간 확보를 위한 또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. 과도한 컨테이너 사용의 경우 OS에도 과부하가 올 수 있으니, 적절히 정리하며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. 이미지 빌드 시에, 중복으로 다운로드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cache를 쌓고, 중복된 레이어가 존재하는 이미지를 빌드할 때, 이 cache로부터 재활용한다. 아주 간편하게 잘 제거되는 것을 볼 수 있다.

Study/Tips 2024.11.26

[Blender] alpha 채널 별도로 저장하는 법

Transparent object를 저장할 때, 렌더링된 object 뿐만 아니라 해당 mask, 즉 alpha channel map을 저장해야 편한 순간이 꽤 있다. 인터페이스 상에서 alpha channel을 별도로 저장할 수는 없는데, node상에서 아주 간결하게 이를 해결할 수 있다.  compositing란을 보면, 위처럼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. scene에 대한 layer, rendered image에 대한 composite layer로 존재한다. 가장 기본적인 구조인데, 여기서 alpha channel을 저장할 수 있는 file output node를 추가해서 연결해주어야한다.  위처럼 render layers의 output  channel을 file output node와 연결시키면..

Study/Tips 2024.10.13